[1] 생존사슬 5단계 1. 심정지 예방과 조기발견 일단 심정지가 발생되면 사망의 가능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누구나 심정지의 위험성을 인지하고 예방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아울러 심정지가 발생된 경우에는 목격자가 신속하게 심정지 상태를 인지할 수 있어야 한다. 2. 신속한 신고 심정지를 인지한 목격자가 심정지 환자가 발생하였음을 119에 신속하게 신고해야 한다 3 .신속한 심폐소생술 심정지 환자를 발견한 목격자가 신속하게 심폐소생술을 실시해야 한다. 4. 신속한 제세동 심정지 환자가 발생한 현장 주변에 비치되어 있는 자동심장충격기(자동제세동기)나 119 구급차에 비치된 자동심장충격기(자동제세동기)를 이용하여 현장에서 심장충격(제세동) 처치를 신속하게 실시해야 한다. 5.효과적 전문소생술 및 심정지 후 치료 심정지 환자가 의료기관에 도착한 뒤에는 의료진에 의한 효과적인 전문소생술이 시행되어야 하며, 심정지 환자의 심장박동이 회복된 뒤에는 전문 의료기관에서 목표체온치료, 관상동맥중재술, 경련의 진단 및 치료 등의 통합적인 심정지 후 치료가 시행되어야 한다. 즉, 심정지 환자가 소생되기 위해서는 생존사슬이 즉시, 그리고 쉼 없이 이어져야 한다. 이 중에서 '효과적 전문소생술과 심정지 후 치료'를 제외한 앞의 4가지 사슬은 심정지가 발생한 현장에서 목격자에 의해 시행되므로, 심정지 환자의 생존은 이를 발견한 목격자에 의해 좌우된다고 말할 수 있다. [2]가슴압박소생술 반응의 확인 현장의 안전을 확인한 뒤에 환자에게 다가가 어깨를 가볍게 두드리며, 큰 목소리로 "여보세요, 괜찮으세요?" 라고 물어본다. 의식이 있다면 환자는 대답을 하거나 움직이거나 또는 신음 소리를 내는 것과 같은 반응을 나타낸다. 반응이 없다면 심정지의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해야 한다. step 02 119신고 환자의 반응이 없다면 즉시 큰 소리로 주변 사람에게 119 신고를 요청한다. 주변에 아무도 없는 경우에는 직접 119에 신고한다. 만약 주위에 심장충격기(자동제세동기)가 비치되어 있다면 즉시 가져와 사용해야 한다. step 03 호흡 확인 쓰러진 환자의 얼굴과 가슴을 10초 이내로 관찰하여 호흡이 있는지를 확인한다. 환자의 호흡이 없거나 비정상적이라면 심정지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일반인은 비정상적인 호흡 상태를 정확히 평가하기 어렵기 때문에 응급 의료 전화상담원의 도움을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step 04 가슴압박 30회 시행 환자를 바닥이 단단하고 평평한 곳에 등을 대고 눕힌 뒤에 가슴뼈(흉골)의 아래쪽 절반 부위에 깍지를 낀 두 손의 손바닥 뒤꿈치를 댄다. 손가락이 가슴에 닿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양팔을 쭉 편 상태로 체중을 실어서 환자의 몸과 수직이 되도록 가슴을 압박하고, 압박된 가슴은 완전히 이완되도록 한다. 가슴 압박은 성인에서 분당 100~120회의 속도와 약 5cm 깊이(소아 4~5 cm)로 강하고 빠르게 시행한다. '하나', '둘', '셋', ..., '서른'하고 세어가면서 규칙적으로 시행하며, 압박된 가슴은 완전히 이완되도록 한다. step 05 인공호흡 2회 시행 환자의 머리를 젖히고, 턱을 들어 올려 환자의 기도를 개방시킨다. 머리를 젖혔던 손의 엄지와 검지로 환자의 코를 잡아서 막고, 입을 크게 벌려 환자의 입을 완전히 막은 후 가슴이 올라올 정도로 1초에 걸쳐서 숨을 불어넣는다. 숨을 불어넣을 때에는 환자의 가슴이 부풀어 오르는지 눈으로 확인한다. 숨을 불어넣은 후에는 입을 떼고 코도 놓아주어서 공기가 배출되도록 한다. 인공호흡 방법을 모르거나, 꺼려지는 경우에는 인공호흡을 제외하고 지속적으로 가슴압박만을 시행한다.(가슴압박 소생술) step 06 가슴압박과 인공호흡의 반복 이후에는 30회의 가슴압박과 2회의 인공호흡을 119 구급대원이 현장에 도착할 때까지 반복해서 시행한다. 다른 구조자가 있는 경우에는 한 구조자는 가슴압박을 시행하고 다른 구조자는 인공호흡을 맡아서 시행하며, 심폐소생술 5주기(30:2 가슴압박과 인공호흡 5회)를 시행한 뒤에 서로 역할을 교대한다. step 07 회복자세 가슴압박 소생술을 시행하던 중에 환자가 소리를 내거나 움직이면, 호흡도 회복되었는지 확인한다. 호흡이 회복되었다면, 환자를 옆으로 돌려 눕혀 기도(숨길)가 막히는 것을 예방한다. 그 후 환자의 반응과 호흡을 관찰해야 한다. 환자의 반응과 정상적인 호흡이 없어진다면 심정지가 재발한 것이므로 신속히 가슴압박과 인공호흡을 다시 시작한다. [3]호기말 이산화탄소 분압 측정에 대해 설명하시오. 다. 호기말 이산화탄소 분압측정 1) 환자가 숨을 내쉴 때 배출하는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측정하는 것 2) 환자가 정상적으로 호흡하고 있는지 혹은 심폐소생술이 제대로 되고 있는지 확인 3) 심폐소생술 도중 관상동맥압이나 심박출양과 비례한다고 알려진 가장 객관적인 지표로 사용 라. 심정지 후 치료 전략으로 목표체온 유지치료와 관상동맥 조영술에 관한 지침 1) 뇌를 보호하기 위해 자발순환회복 우 반응이 없는 성인에게 체온을 섭씨 32~36도 사이에서 - 30 - 최소 24시간 저체온 치료를 실시 권고 2) 심장정지의 원인질환 가운데 가장 흔한 것은 급성심근 경색 3) 심폐소생술 직후, 관상동맥 조영술을 실시해서 심근경색을 치료 [4]심정지 예방수칙 - 대한심폐소생협회가 권고하는 8가지 예방 수칙을 모두 작성할 것 •흡연, 과음, 비만은 심정지의 위험인자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을 치료하여 심뇌혈관 질환을 예방 •가족 중 갑자기 사망한 사람이 있다면 반드시 건강검진으로 체크 •심근경색, 심부전, 부정맥 등 고위험 질환을 치료 • 과도한 스트레스, 과로, 과격한 운동 피하기 • 갑작스러운 가슴 통증, 두근거림, 호흡곤란은 심정지의 위험 증상 • 위험증상 발생하면 즉시 119에 연락 • 심폐소생술을 배워서 가족의 생명을 지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