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항 1. 사회공학이 무엇인지 서술 보안학적 측면에서 기술적인 방법이 아닌 사람들 간의 기본적인 신뢰를 기반으로 사람을 속여 비밀 정보를 획득하는 기법, 인간 상호 작용의 깊은 신뢰를 바탕으로 사람들을 속여 정상 보안 절차를 깨트리기 위한 비기술적 침입 수단이다. 즉 첩보/해킹의 한 분야가 학술적으로 정립된 것이라고도 할 수 있다. 어떤 학자나 기술자라고 보기는 어렵고, 컴퓨터 보안을 깨는 사기꾼이다. 문항 2. 사회공학적 해킹이란 무엇인지 서술 일반적으로 사회공학은 사람들의 심리적, 사회적 관계를 이용하여 사기를 치는 아주 오래된 수법으로서 사회공학이란 용어가 새롭고 어렵게 느껴질 뿐 결코 새로운 것이 아니며 우리 곁에서는 빈번히 일어나고 있는 현상이다. 사회공학의 사전적 의미는 사회 행동의 과학적 연구로 얻어진 기초적인 식견이나 법칙을 응용하여 사회생활에서 당면하는 여러 가지의 실천 상의 특수 문제를 해결하고 또 그 때문에 필요한 기술적 제 문제에 관하여 연구하는 학문이라 설명된다. 하지만 정보 보안에서의 사회공학이란 좀 다르다. 정보 보안에서의 사회공학은 설득과 감언이설을 통해 자신의 신분을 속이거나 사람들을 교묘히 조종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 결과, 사회 공학자는 기술에 대한 특별한 지식이 없어도 사람들을 이용해 정보를 입수할 수 있다. 따라서 사회공학적 해킹은 시스템이 아닌 사람의 취약점을 공략하여 원하는 정보를 얻는 공격 기법을 통칭한다. 불확실성이 내포되어 있는 보안 대비책은 취약성을 지닐 수밖에 없음을 고려할 때, 많은 변수를 가지고 있는 인간이라는 요소는 시스템 체인 내에서 취약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전화사기, 이메일 피싱, 우편물 등을 통한 개인 정보 도난 등 특별한 기술 없이도 손쉽게 기본 정보를 얻어내는 비 기술적인 침임 방법이라고도 한다. 1990년대 가장 유명한 해커였던 케빈 미트닉은 사회공학적 해킹법을 가장 잘 사용하기로 유명하였다. 그는 시스템을 이루는 노드들 중 인간을 공략하는 사회공학적 기법이 가장 효과적인 공격법이었다고 회고한다. 실제로 그가 저지른 해킹의 상당수가 전화 통화로 시작되었으며, 모토로라의 최신 핸드폰의 핵심 소스코드를 전화 몇 통화 만으로 탈취해 낸 것은 매우 유명한 실화이다. 사회공학은 해킹보다 더욱 심각한 문제로 원래 사람이란 예측 불가능한데다 조작이나 설득에 걸려들기 쉬운 점을 악용한다. 보안 침해 피해를 당했으며 지속적으로 당할 가능성이 있는 대다수 경우는 기술적인 해킹이나 크래킹 때문이 아니라 사회공학에 기인한 것하고 있다. 최근에 피싱(Phishing), 파밍(Pharming), 문자메시지를 이용한 스미싱(SMiShing), 불특정 다수에게 전화를 걸어 개인 정보를 빼내는 비싱(Vishing) 등 사회공학적 위협이 증가하면서 사회공학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현재 다양하고 정교해진 보안장비로 기술적 침입이 어려워지고 있어 해커들이 특별한 기술이나 지식 없이도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사회공학이 보안에 있어 향후 그 어떤 것보다 심각한 문제가 될 것이다. 신뢰기반의 해킹 : 컴퓨터 보안에서 인간 상호 작용의 깊은 신뢰를 바탕으로 사람들을 속여 정상 보안 절차를 깨트리기 위한 비기술적 침입 수단. 우선 통신망 보안 정보에 접근 권한이 있는 담당자와 신뢰를 쌓고 전화나 이메일을 통해 그들의 약점과 도움을 이용하는 것이다. 일반적이 사회공학적 기술에는 상대방의 자만심이나 권한을 이용하는 것, 정보의 가치를 몰라서 보안을 소홀히 하는 무능에 의존하는 것과 도청 등이 있다. 이 수단을 이용하여 시스템 접근 코드와 비밀번호를 알아내 시스템에 침입하는 것으로 물리적, 네트워크 및 시스템 보안에 못지 않게 인간적 보안이 중요하다. 문항 3. 사회공학 공격 대상을 서술 너, 나 ,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