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표 데이터개방 -유통 - 활용 촉진을 통한 디지털 경제 활성화 기본방향 가. 전 산업의 디지털 전환을 위한 "기업과 시장중심" 나. 국민의 참여를 촉진하는 "사람과 서비스 중심" 다. 정책을 조정하고 지원하는 "거버넌스 중심" 11대 실천과제 민간중심 생태계혁신 1. 미개방 핵심 데이터 제공 ==> 사업자등록 및 휴폐업정보, 보험정보 등 핵심데이터 제공 2. 수요자가 원하는 수준의 데이터 품질확보 ==> 반복적으로 제기되는 민간 애로사항을 종합개선 3. 민간전문기업 활용 및 데이터 구매지원 ==> 데이터가공 및 분석을 위한 민간 전문기업 활용 확대 ==> 디지털서비스 전문계약제도로 민간데이터 구매 활성화 4. 데이터플랫폼 연계 및 거래소 활성호 ==> 공공.민간 데이터 플랫폼을 통합데이터 지도로 연계 종합적 데이터 정책체계 확립 5.국가 데이터 관리체계 전면 개편 ==> 국가 전체적인 데이터 현황 파익 및활용전략 마련 ==> 데이터 중요도 등급에 따른 분류 체계마련 및 보안정책 수립 6. 데이터중심 정부업무 재설계 ==> "단 한번(Once-only) 원칙 기반 데이터 수집'공유방식 구현 ==> 정보화 사업에 데이터 사전기획제도 도입 ==> 공무원의 데이터 역량 제고 7. 새로운 데이터 활용 제도의 조기 정착 ==> 마이데이터, 가명정보, 개인정보, 공공데이터 구분 수집방식 체계화 및 책임제도 보완 규정 일괄정비가 필요함 8. 데이터생태계 전반의 위험 선제 대응 ==> 데이터 위험관리 프레임 워크 개발 등 관리 체계마련 ==> 데이터 편향 예방을 위한 설명요구권 및 이의제기권 도입 9. 데이터 기반 과학적 재난관리 체계 구축 ==> 재난피해집단 신속파악 기반 구축 ==> 데이터분석을 통한 방역,대피,지원 등 대응방안 제시 특별현안과제 10. 코로나19 타임캡슐 프로젝트 추진 ==> 코로나 19로 인한 변화된 사회현상에 대한 기록.저장 및 사회전반의 영향분석 2019(코로나이전)_, 2020(코로나), 2021 (백신코로나) 3개년 데이타 보존 11. 물관리 데이터 통합 체계마련 ==> 여러기관에 분산된 각종 물관리 데이타의 체계적 통합 물관리정보(환경부) + 지방하천정보(지자체) + 재난안전정보 (행안부) 9대 국민체감형 서비스 1. 내건강정보 한눈에 ( 분산된 개인건강기록을 앱을 통해 한번에 확인관리) 2. 실손보험 자동청구 ( 보험금 청구 서비스 자동화) 3. 슬기로운 서비스 소비생활 ( 개인의 소비활동 개선) 4. 불법복제 꼼짝마 ( 불법복제품 판독) 5. 중단없는 급식지원 ( 중단없는 결식아동 급식지원) 6. 나의 인공지능 학습도우미 ( 인공지능 기반 맞춤 학습 지원) 7. 인공지능 훈민정음 ( 음성. 자연어 데이터 구축 및 서비스 기반제공) 8. K-이미지 프로젝트 ( 국내 이미지, 영상 데이터 구축 프로젝트) 9. 스마트 항만 ( 항만의 민관 데이타 연계공유로 수출입 물류 프로세스를 효율화하는 시스템 구축) 기대효과 개인 개인의 데이터 주권이 강화되고 다양한 데이터 서비스로 생활이 편리해짐 기업 기업은 데이터를 통해 생산성을 높이고 새로운 가치를 창출해 경쟁력이 높아집니다. 정부 정부는 과학적 행정으로 똑똑하게 일하고 국민에게 더 좋은 서비스를 제공합니다.